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화 관련 정보, 박스오피스 뜻 (Box Office)

by 뚱후니 2023. 5. 30.

박스오피스란?

Box Office 원래의 뜻은 매표소를 뜻하며, 매표소에서 표를 사서 영화를 관람했던 시절의 의미가 확장되어 어떤 영화의 흥행성적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는 용어로도 쓰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지난주 박스오피스 1위와 같은 식으로 그 주에 개봉 중인 영화들의 순위를 매겨 그 주에 어떤 영화가 흥행성적이 좋은지를 따지는데, 이 흥행성적을 따지는 기준이 나라마다 조금씩 다른 점이 있다. 영화별 관객수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는 경우도 있고, 흥행수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는 경우도 있다. 관객수와 흥행수익은 정비례 관계이므로 보통 영화의 박스오피스 순위가 높다는 것은 그 순위를 매긴 기준이 관객수이든 흥행수익이든, 관객수도 많고 흥행수익도 많이 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국 영화 박스오피스 기준

한국은 관객수, 매출액 모두 집계하고 있으나, 주로 관객수가 기준이 되는 편이다. 한국의 경우 1990년대까지는 서울 지역을 기준으로 흥행을 가늠했으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갖춰진 뒤엔 이쪽 데이터를 사용한다. 2014년부터는 흥행수입을 지표로 하여 산출한다고 했으나 2018년 이후 관객수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매기고 있다. 하지만 통합전산망이 갖춰진 뒤로는 매출액도 조회할 수 있다. 

 

역대 한국 박스오피스 순위 (관객수 기준)

1위: 명량 (1,761만 3,682명) (2014)
2위: 극한직업 (1,626만 1,990명) (2019)
3위: 신과함께-죄와 벌 (1,441만 9754명) (2017)
4위: 국제시장 (1,425만 7,115명) (2014)
5위: 어벤져스: 엔드게임 (1,397만 6,004 명) (2019)
6위: 겨울왕국 2 (1,374만 7,792명) (2019)
7위: 아바타 (1,362만 4,328명)[10] (2009)
8위: 베테랑 (1,341만 4,009명) (2015)
9위: 괴물 (1,301만 9,740명) (2006)
10위: 도둑들 (1,298만 3,976명) (2012)
11위: 7번방의 선물 (1,281만 1,206명) (2013)
12위: 알라딘 (1,278만 3,982명) (2019)
13위: 암살 (1,270만 5,700명) (2015)
14위: 범죄도시2 (1,269만 3,195명) (2022)
15위: 광해, 왕이 된 남자 (1,231만 9,542명) (2012)